전체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유튜브라이브 방송

유튜브 라이브 포트폴리오

2024년 3월 4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매매 및 전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HELL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3-20 21:38

본문



안녕하세요 대명상조 :)





오늘 알려드릴 소식은 바로
2024년 3월 4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에 대한 내용인데요.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한국부동산원이 2024년 3월 4주(3.25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4% 하락, 전세가격은 0.02%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4%]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3%) 대비 하락폭 확대됐습니다.

수도권(-0.02%→-0.03%)은 하락폭 확대,
서울(0.00%→0.01%)은 상승 전환,
지방(-0.04%→-0.05%)은 하락폭 확대됐습니다.
(5대광역시(-0.05%→-0.04%), 세종(-0.25%→-0.39%), 8개도(-0.02%→-0.04%))

시도별로는 광주(0.00%)는 보합,
경남(-0.06%), 대구(-0.06%), 부산(-0.06%), 경기(-0.06%), 제주(-0.05%), 강원(-0.05%),
충남(-0.04%), 대전(-0.03%), 전남(-0.02%), 충북(-0.02%) 등은 하락했습니다.

-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42→45개)은 증가,
보합 지역(13→13개)은 유지,
하락 지역(123→120개)은 감소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수도권 : -0.03%]
서울 0.01% 상승, 인천 0.01% 하락, 경기 0.06% 하락

[서울 : 0.00% &rarr0.01%]
- 거래희망가격 격차 해소되지 않아 관망세 이어지고
지역‧단지별로 상승‧하락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가운데 일부 선호단지 위주로 급매 소진 후
매수문의 증가하는 모습 보이며 상승 전환

(강북 14개구 : 0.01%) 대명상조
도봉구(-0.04%)는 쌍문‧방학동 구축 위주로,
서대문구(-0.03%)는 남가좌‧북아현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하였으나,

마포구(0.12%)는 아현‧대흥동 위주로 매수문의 증가하고,
광진구(0.04%)는 구의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 전환

(강남 11개구 : 0.01%)
관악구(-0.03%)는 관망세 지속되며 봉천‧신림동 위주로,
강동구(-0.02%)는 강일‧암사동 위주로 하락거래 발생하며 하락했으나,

송파구(0.05%)는 잠실‧가락‧방이동 주요단지 위주로,
동작구(0.04%)는 동작‧사당‧상도동 위주로 상승


[인천 : -0.01% &rarr-0.01%]
교통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중구(0.05%)·연수구(0.01%)는 상승 전환,
부평구(0.01%)는 삼산·부개동 위주로 상승 지속하였으나,

미추홀구(-0.06%)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용현‧주안동 위주로,
계양구(-0.03%)는 병방‧계산동 위주로,
동구(-0.03%)‧남동구(-0.02%)는 구축 위주로 하락


[경기 : -0.03% &rarr-0.06%]
교통호재 있는 고양 덕양구(0.11%)는 도내‧행신동 위주로,
여주시(0.10%)는 현암‧홍문동 위주로,
용인 처인구(0.09%)는 포곡·남사읍 위주로 상승했으나,

파주시(-0.24%)는 조리읍·야당동 구축 위주로,
안양 동안구(-0.23%)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호계·비산동 위주로,
성남 중원구(-0.18%)는 금광‧성남동 위주로,
남양주시(-0.15%)는 급매물 및 하락 거래 발생하며 퇴계원·진접읍 위주로 하락


[지방 : -0.05%]
5대광역시 0.04% 하락, 세종 0.39% 하락, 8개도 0.04% 하락


[5대광역시 : -0.05% &rarr-0.04%]

(대구 : -0.09% &rarr-0.06%)
남구(-0.23%)는 대명·봉덕동 위주로,
달성군(-0.12%)은 현풍읍 대명상조 및 입주물량 영향 있는 구지면 위주로,
달서구(-0.10%)는 상인·용산동 구축 위주로 하락

(부산 : -0.06% &rarr-0.06%)
수영구(-0.14%)는 민락·남천동 준신축 위주로,
해운대구(-0.13%)는 재송·반송동 구축 위주로,
부산진구(-0.11%)는 개금동 중소형 규모 및 연지동 위주로 하락


[세종 : -0.25% &rarr-0.39%]
신규 입주물량 영향으로 새롬·고운동 및 조치원읍 위주로 하락


[8개도 : -0.02% &rarr-0.04%]

(경남 : -0.04% &rarr-0.06%)
거제시(-0.21%)은 고현·상동동 구축 위주로,
창원 성산구(-0.14%)는 상남·대방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


(지난주 대비 %)



구 분
3.18(전기)
3.25(당기)
비 고


1
전북
-0.03
-0.01
하락폭 축소


2
경북
0.03
-0.01
상승에서 하락 전환


3
충북
-0.02
-0.02
하락폭 유지


4
전남
-0.03
-0.02
하락폭 축소


5
충남
-0.05
-0.04
하락폭 축소


6
강원
0.01
-0.05
상승에서 하락 전환


7
제주
-0.04
-0.05
하락폭 확대


8
경남
-0.04
-0.06
하락폭 확대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2%]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2%) 대비 상승폭 유지됐습니다.

수도권(0.07%→0.07%) 및 서울(0.07%→0.07%)은 상승폭 유지,
지방(-0.02%→-0.04%)은 하락폭 확대됐습니다.
(5대광역시(-0.02%→-0.02%), 세종(-0.23%→-0.33%), 8개도(-0.02%→-0.03%))

시도별로는 인천(0.17%), 경기(0.05%), 전북(0.05%), 울산(0.04%), 전남(0.02%), 부산(0.01%) 등은 상승,
광주(0.00%), 충북(0.00%)은 보합,
대구(-0.14%), 경북(-0.08%) 등은 하락했습니다.

-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06→102개)은 감소,
보합 지역(7→11개)은 증가, 대명상조
하락 지역(65→65개)은 유지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수도권 : 0.07%]
서울 0.07% 상승, 인천 0.17% 상승, 경기 0.05% 상승


[서울 : 0.07% &rarr0.07%]
매매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매수대기자가 전세수요로 전환되며
역세권․신축 등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중심으로
상승거래 이루어지고 매물 등 상승세 지속

(강북 14개구 : 0.11%)
성북구(0.15%)는 정릉‧길음동 준신축 대단지 위주로,
노원구(0.15%)는 중계‧공릉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은평구(0.15%)는 불광‧응암동 역세권 단지 위주로,
용산구(0.14%)는 이촌‧산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

(강남 11개구 : 0.03%)
서초구(0.10%)는 잠원‧반포동 주요단지 위주로,
구로구(0.09%)는 오류‧신도림동 대단지 위주로,
양천구(0.08%)는 목‧신정동 위주로,
금천구(0.08%)는 독산‧가산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


[인천 : 0.17% &rarr0.17%]
미추홀구(0.30%)는 도화‧용현동 위주로,
부평구(0.30%)는 구산‧청천동 위주로,
남동구(0.19%)는 남촌‧간석동 위주로,
연수구(0.16%)는 송도‧연수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서구(0.12%)는 심곡‧금곡동 위주로 상승


[경기 : 0.04% &rarr0.05%]
파주시(-0.21%)는 야동‧검산동 위주로,
광주시(-0.13%)는 경안‧태전동 위주로,
과천시(-0.08%)는 부림‧별양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광명시(0.33%)는 이주 수요로 인해 하안‧철산동 위주로,
성남 중원구(0.32%)는 은행‧성남동 위주로,
수원 영통구(0.19%)는 하‧매탄동 위주로 상승


[지방 : -0.04%] 대명상조
5대광역시 0.02% 하락, 세종 0.33% 하락, 8개도 0.03% 하락


[5대광역시 : -0.02% &rarr-0.02%]

(대구 : -0.12% &rarr-0.14%)
달성군(-0.28%)은 구지면‧화원읍 위주로,
남구(-0.21%)는 봉덕·이천동 중대형 규모 위주로,
북구(-0.16%)는 동변동 구축 및 침산동 위주로 하락

(광주 : 0.01% &rarr0.00%)
남구(0.03%)는 봉선·행암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동구(-0.02%)는 용산동 주요단지 위주로,
북구(-0.01%)는 일곡·동림동 위주로 하락하며 상승에서 보합 전환


[세종 : -0.23% &rarr-0.33%]
신규 입주물량 영향 지속되며 다정·도담·고운동 위주로 하락


[8개도 : -0.02% &rarr-0.03%]

(경북 : -0.03% &rarr-0.08%)
포항 북구(-0.35%)는 양덕·장성동 위주로,
구미시(-0.09%)는 공단·구포동 위주로 하락


(지난주 대비 %)



구 분
3.18(전기)
3.25(당기)
비 고


1
전북
0.04
0.05
상승폭 확대


2
전남
-0.02
0.02
하락에서 상승 전환


3
충북
0.01
0.00
상승에서 보합 전환


4
제주
-0.02
-0.02
하락폭 유지


5
강원
0.02
-0.03
상승에서 하락 전환


6
충남
-0.06
-0.04
하락폭 축소


7
경남
-0.05
-0.07
하락폭 확대


8
경북
-0.03
-0.08
하락폭 확대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매매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4년


‘23년
‘24년
2.19
2.26
3.4
3.11
3.18
3.25


전 국
-4.98
-0.62
-0.05
-0.05
-0.05
-0.05
-0.03
-0.04


수도권
-5.78
-0.61
-0.04
-0.04
-0.04
-0.05
-0.02
-0.03


지 방
-4.20
-0.62
-0.05
-0.05
-0.06
-0.06
-0.04
-0.05


서 울
-3.70
-0.35
-0.03
-0.02 대명상조
-0.02
-0.01
0.00
0.01


경 기
-6.97
-0.82
-0.06
-0.06
-0.06
-0.07
-0.03
-0.06


인 천
-5.67
-0.37
-0.02
-0.03
-0.03
-0.01
-0.01
-0.01


부 산
-5.84
-1.01
-0.10
-0.08
-0.11
-0.08
-0.06
-0.06


대 구
-6.46
-1.43
-0.12
-0.13
-0.15
-0.17
-0.09
-0.06


광 주
-3.82
-0.36
-0.04
-0.04
-0.03
-0.05
0.00
0.00


대 전
-5.23
-0.22
-0.01
-0.02
-0.06
-0.03
-0.03
-0.03


울 산
-4.53
-0.22
-0.02
-0.02
-0.03
-0.02
-0.02
-0.02


세 종
-8.91
-2.61
-0.16
-0.20
-0.14
-0.29
-0.25
-0.39


강 원
-1.66
0.20
0.04
0.04
0.06
0.03
0.01
-0.05


충 북
-3.11
-0.24
0.00
-0.04
-0.03
-0.01
-0.02
-0.02


충 남
-3.18
-0.80
-0.09
-0.09
-0.06
-0.10
-0.05
-0.04


전 북
-2.74
-0.29
0.00
-0.02
-0.01
-0.03
-0.03
-0.01


전 남
-3.33
-0.31
-0.02
-0.02
-0.03
-0.03
-0.03
-0.02


경 북
-2.32
-0.22
-0.01
-0.03
-0.03
0.00
0.03 대명상조
-0.01


경 남
-3.85
-0.54
-0.04
-0.04
-0.04
-0.04
-0.04
-0.06


제 주
-2.06
-0.67
-0.07
-0.05
-0.05
-0.04
-0.04
-0.05



* '23년 및 '24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4년 14주차의 경우, '23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전세가격 변동률



지역
누계*
’24년


‘23년
‘24년
2.19
2.26
3.4
3.11
3.18
3.25


전 국
-7.78
0.23
0.02
0.02
0.03
0.02
0.02
0.02


수도권
-10.34
0.76
0.06
0.06
0.08
0.06
0.07
0.07


지 방
-5.28
-0.28
-0.03
-0.02
-0.03
-0.03
-0.02
-0.04


서 울
-9.98
0.87
0.04
0.05
0.08
0.08
0.07
0.07


경 기
-10.79
0.63
0.07
0.06
0.07
0.04
0.04
0.05


인 천
-9.21
1.07
0.08
0.10
0.14
0.13
0.17
0.17


부 산
-7.72
-0.45
-0.04
-0.03
-0.02
-0.02
-0.01
0.01


대 구
-8.67
-1.26
-0.11
-0.10
-0.13
-0.13
-0.12
-0.14


광 주
-4.00
-0.17
0.00
-0.04
0.00
-0.01
0.01
0.00


대 전
-6.89
0.76
0.02
0.05
0.04
0.02
0.05
0.01


울 산
-7.27
0.35
0.03
0.03
0.03 대명상조
0.02
0.03
0.04


세 종
-9.13
-2.60
-0.22
-0.27
-0.29
-0.19
-0.23
-0.33


강 원
-1.73
0.18
0.04
0.03
0.04
0.01
0.02
-0.03


충 북
-3.57
0.35
0.00
0.06
0.03
-0.01
0.01
0.00


충 남
-4.05
-0.42
-0.06
0.02
-0.04
-0.05
-0.06
-0.04


전 북
-3.18
0.59
0.05
0.03
0.02
0.07
0.04
0.05


전 남
-3.61
-0.06
-0.02
0.00
0.01
0.00
-0.02
0.02


경 북
-2.73
-0.63
-0.03
-0.06
-0.07
-0.05
-0.03
-0.08


경 남
-4.52
-0.33
-0.02
-0.01
-0.02
-0.05
-0.05
-0.07


제 주
-2.51
-0.27
-0.01
0.00
-0.02
-0.03
-0.02
-0.02



* '23년 및 '24년 누계는 전년 동일 주차까지 산정(예시:'24년 14주차의 경우, '23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이상으로 2024년 3월 4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아직 금리인하 미확정 및 물가 불안정으로 인해


부동산 경기 불안정으로 인한 매수도 혼조세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하락폭은 다소 축소되긴 했지만, 아직 상승전환은 시기상조 인 것 대명상조 같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