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유튜브라이브 방송

유튜브 라이브 포트폴리오

‘공복 혈당’ ‘식후 혈당’이 뭐예요? “2030세대 60%가 몰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눈물의꽃
댓글 0건 조회 206회 작성일 24-07-05 22:30

본문

http://naver.me/xJqGJu14


20, 30대 당뇨병 환자 15만 명 넘어



국내 당뇨병 환자가 600만 명(당뇨병 전 단계 1,500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20, 30대 젊은 환자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20, 30대 젊은이들은 당뇨병에 대한 인식과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당뇨병학회와 다국적 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공동으로 ‘세계 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맞아 10월 23~30일 온라인으로 20세 이상 1,000명에게 ‘당뇨병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마크로밀엠브레인이 수행한 이 조사의 표본 오차는 신뢰 수준 95%에서 ±3.1%이다.

조사 결과, 20, 30대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자신의 공복이나 식후 혈당 수치를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59.9%, 344명 중 206명).

공복 및 식후 혈당 수치와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진단 기준 중 하나인 ‘당화혈색소(HbA1c)’에 대해서는 20, 30대 젊은 세대 가운데 73.6%(344명 중 253명)가 모른다고 답했다. 당뇨병 고위험군인 ‘당뇨병 전 단계’를 모르는 사람도 54.2%(344명 중 186명)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30대 당뇨병 환자는 12만1,568명으로 4년 전보다 25.5% 늘었다(2016년 9만6,891명). 같은 기간 20대 당뇨병 유병률은 47% 늘어 심각한 증가세를 보였다(2016년 2만3,798명→ 2020년 3만5,005명). 20대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인 연령대는 80대 이상이 유일했다(52.5% 증가).

당뇨병은 우리나라에서 질병 부담이 1위인 질환으로, 고혈압·만성콩팥병·심근경색·뇌졸중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적극적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20, 30대 젊은이의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과 함께 췌장의 베타세포 기능이 빠르게 악화된다는 특징이 있다. 늦은 나이에 발병하는 당뇨병에 비해 이른 나이에 미세혈관합병증과 대혈관합병증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조기 사망 위험도 증가한다.

원규장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영남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은 “2030세대는 질병 위험도가 낮을 것으로 생각해 당뇨병을 간과하기 쉬운데 '숨어 있는' 당뇨병 환자와 당뇨병 고위험군을 알아내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당화혈색소’를 추가하고, 남녀 모두 35세부터 당뇨병 선별 검사 등을 제안한다”고 했다.


◇공복 혈당 126 이상·식후 혈당 200 이상·당화혈색소 6.5% 이상이면 당뇨병



공복 혈당은 식후 8시간이 지난 뒤 측정하는 혈당 수치이고, 식후 혈당은 식사 후 2시간 뒤에 측정한 혈당 수치다. 당화혈색소는 2~4개월간의 평균 혈중 혈당 농도를 말한다.

당뇨병은 혈액검사에서 △식사와 관계없이 무작위 측정한 혈당 수치가 200㎎/dL 이상이거나 △8시간 금식 후 측정한 공복 혈당 126㎎/dL 이상 △75g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측정한 혈당 200㎎/dL 이상 △당화혈색소 6.5% 이상 등 4가지 기준 가운데 1가지라도 해당될 때 진단된다.

공복 혈당이 정상과 당뇨병의 중간인 100~125㎎/dL이거나 경구당 부하 검사 결과에서 140~199㎎/dL이면 각각 ‘공복 혈당 장애’와 ‘내당능(耐糖能) 장애’라고 한다. 이들 두 경우를 합쳐 ‘당뇨병 전 단계’라고 한다. 당화혈색소가 5.7~6.4%이라도 당뇨병 전 단계에 해당한다.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2022년 당뇨병 팩트시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내 당뇨병 환자는 605만 명으로, 30세 이상 성인 6명 중 1명(16.7%)이 당뇨병 환자다. 당뇨병 고위험군인 당뇨병 전 단계 인구가 1,600만 명인 것을 감안하면 국민 2,000만 명 이상이 당뇨병 또는 당뇨병 위험에 노출돼 있다.

해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당뇨병 전 단계가 당뇨병으로 악화하는 것을 막으려면 당뇨병 약보다 생활습관 개선이 더 효과적이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식사량 조절 및 운동 등 생활 습관 교정으로 당뇨병 전 단계 10명 중 6명가량이 정상 혈당으로 낮아지거나 최소한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약을 먹으면 당뇨병으로 진행되는 비율이 더 높았다.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방법은 체지방 감소와 근육량 증가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당뇨병 전 단계 관리 지침'에 따르면 체중을 5%만 줄여도 당뇨병 악화 위험을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다. 또 근육량을 늘리면 혈당 조절 능력이 좋아진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