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유튜브라이브 방송

유튜브 라이브 포트폴리오

헤모박이란? Hemovac 관리 주의사항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unny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4-12 21:58

본문

안녕하세요후두 헤모박 건강문제와 간호입니다​​​* TMN 1~2 단계 – 전이 X / 3~4단계 – 전이 O 후두종양 (laryngeal cancer, 후두암)- 발생 : 남 >여 4~5배 이상- 원인 : 담배 (첫 번째 원인), 자극성 물질(술, 흡연, 독성 연기)- 종류 : 양성/악성 – 후두의 악성 종양은 상기도 악성 종양 중 가장 흔하고 거의 모든 후두 의 상피 표면에 발생 – 편평세포암- 95% 편평세포암- 성문부 제외한 후두의 다른 부위 림프관 풍부 → 암 퍼지는 속도 빠름성문상부삼킬 때 인후통성문부쉰 목소리 – 말하는 동안 종양이 성대의 활동 방해하기 때문성문하부기도를 폐쇄할만큼 커지기 헤모박 전까지 조기 증상 X- 증상 : 조기증상은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다름 - 진단 : ① 확진 – 직접 또는 간접 후두경 검사② 전이 확인 – X-선 촬영- 치료 : 방사선치료, 수술 : 성대절제술 (cordectomy), 부분 후두절제술(partial laryngectomy), 성문위 후두절제술(supraglottic (horizontal) laryngectomy), 전체 후두절제술(total laryngectomy)변형 근치 경부절제술(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수술 (5) : 성문하부종양은 많이 진행된 악성 종양으로 주변 조직에 퍼져있는 경우가 많아 방사선치료가 효과적이지 못하거나 종양이 진행된 경우에 수술 시행수술 종류특징수술 후 성대절제술- 성대 하나 절제- 한쪽 성대 표면에 국한된 경우- 성대가 자유롭게 헤모박 움직이고 병소 가 완전히 보여야 함 (간접 후두 경 검사 시 거울에 반사되어 좌 우 바뀌어 보임)- 상실감 → 정서적 지지부분 후두 절제술- 암이 성대의 한 부위에만 침범 된 초기 성문암에 권장- 한쪽 성대 전부 혹은 일부 제거- 약간의 연하곤란, 목소리 변화(작아지거나 쉰 목소 리) 할 수 있음- 목소리 보존- 흡인 위험성↑성문위 후두절제술- 부분 후두절제술의 다른 형태- 성대 윗부분 제거- 진성대 보존- 목소리 보존, 유지- 흡인 위험성↑- 수술 후 기도가 완전해질 때까지 기관절개술 필요- 목소리가 작아지거나 쉰 목소리 날수도 있음전체 후두절제술- 종양이 진행되거나 헤모박 성대에 고정 된 경우- 후두 전체와 전후두개 공간제거 후 영구 기관절개술 시행- 공기가 수술 전과 다르게 흐름- 공기가 코로 유입 X → 후각 상실- 목소리 100% 상실- 소화기로부터 기관의 영구 분리 → 잘 흡입 X변형 근치 경부절제술- 근치 경부절제술의 대안으로 모 양과 기능상실을 최소화 하기 위함- 대개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척수 부속신경, 내경정맥 등보존 / 주요 흉추 림프관 제거- 경부절제술은 대개 한쪽 부위만 시행하지만 종양이 중앙에 있으 면 양쪽 시행- 양쪽에 시행하는 경우 어느 한 쪽은 변형 근치 경부절제술 시 행 기도폐쇄의 위험 ↑ 헤모박 → 흡인위험성↑* 부분적 절제가 전체 후두 절제술보다 더 위험함 (흡인) - 간호부분 후두절제술수술 후① 45°이상 반좌위 → 기도 부종 감소, 호흡과 안위 증진② 수술 후 기관절개관 통해 호흡 → 부종 사라지면 제거③ 수술 2일 후부터 구강 섭취 가능④ 쉰 목소리지만 말 할 수 있음⑤ 의사가 지시하기 전까지는 말하면 X : 수술 후 2~3일 까지는 목소리 내면 X, 차츰 휘파람 부는 것부터 허용-심리간호, 자가간호와 환자교육 재활, 언어재활전체 후두절제술수술 전- 수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 매우 어려움, 공표→ 정신 간호 중요 : 정신적인지지, 지도수술 후 결과 미리 헤모박 알려주기수술 전 교육환자에 따라서 수술 후 성공적으로 재활한 사람이나 식도 음성으로 말할 수 있는 사람 만나면 용기가 나기도 하지만 놀라서 수술 거절하기도 함 → 의사와 환자가 충분히 상의 후 결정수술 후 감염 줄이기 위해 항생제 처방되기도, 구강위생 중요수술 후① 기도개방유지② 혈압 안정되면 침상머리 30~45° 높임 → 부종, 봉합선 의 긴장 감소, 배액과 호흡 증진③ 봉합부위 간호 : 머리지지 - 침대에서 일어날 때 목뒤를 양손으로 지지해주면 안정감이 생길 뿐만 아니라 봉합 부위를 긴장시키지 않는다. 특히 근치경부절제술을 받은 경우 목 근육이 절제되어 머리를 조정하고 지지하는 헤모박 힘이 없어진다. 처음 의식을 회복했을 때 불안해하고 불안정 → 머리를 약간 구부린 자세 → 봉합선의 긴장, 수술부위의 열개를 막을 수 있다.④ 심부흡인 X : 봉합선 건드릴 우려 → 처방 없이 코나 입을 통한 심부흡인 X⑤ 출혈, 저혈압, 빈맥 확인 : 배액관 삽입되어 헤모박 연 결 중⑥ 진통제 – 아스피린, darvon⑦ 수술 직후 삼킬 때 심한 통증 호소함 → 침, 가래 삼키지 X, 뱉도록 함⑧ 위관영양 → 절개부위 오염 방지, 인두 봉합선에 있는 연하 지점의 긴장완화로 누공형성 방지, 삼키는데 필요한 근육운동 X → 치유과정 헤모박 강화⑨ 의사소통 증진(메모지 사용 등)⑩ 가습기 사용⑪ 어깨목 운동 [상기도 폐색환자 간호]- 폐색된 경우 즉시 기도 유지시키는 것 가장 중요-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기도 개방 (Head tilt chin lift maneuver)- 목을 다쳐 머리를 움직이면 안 되면 : 턱을 앞으로 당겨 기도 개방 (Jaw thrust maneuver) - 이물질 → 기도 완전 폐색 → 말할 수 없거나 호흡하기 어려우면 : 하임리히법- 기도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 기관지경이나 후두경으로 제거, 때로 기관절개술이나 윤상연골절개술 시행할수도 있음​​​​​#성인간호학 #후두 #간호 #국가고시 #상기도 #성대 #수술 #후두종양 #후두절제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