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유튜브라이브 방송

유튜브 라이브 포트폴리오

계림 숲 속 오솔길을 따라가다 보면 교촌마을과 웅장한 월정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weetie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4-11-09 00:13

본문

홍콩 명품 사이트 한 해, COVID-19에서 자유로웠던 Industy가 있었을까? 여기저기 물어보니 신기하게 오히려 업황이 좋았던 비즈니스도 있는듯하다, 예를 들면 Insurance, 특히 정부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많이 진행하는 산업 군의 경우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그 어느 때보다 비즈니스가 호황이었다고 한다. 반대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비즈니스 세 개를 꼽으라면, 개인적으로 Aviation/Travel business/Retail 가 아닐까? Retail만 한번 들여다보자.상징적인 브랜드들의 'Exit Hong Kong'플래그십 스토어 철수한 빅토리아 시크릿과 갭안타깝지만, 홍콩 Causeway Bay의 상징이었던 Victoria's Secret의 플래그십 스토어가 사라지고 Gap도 이미 한곳을 닫고, 센트럴의 다른 한 곳을 정리 중이다. 명품업계의 경우, 홍콩 명품거리의 상징 Russell St.에는 상당히 여러 명품 브랜드들이 빠져나갔다. 그 외에도 복합 cosmetic/drug 리테일 그룹인 Sasa, Mannings도 홍콩 섬 홍콩 명품 사이트 지역에 점포 수를 줄였다. 물론 점포 수만 줄인 브랜드도 있고 브랜드 자체를 홍콩에서 뺀 경우도 있다. 사실 이러한 변화는 리테일 전반적으로 작년부터 서서히 진행되었고 그동안 버티기 작전을 펼치던 브랜드들이 올해 중순에 들어 대대적인 결정을 내리면서 변화가 좀 더 가속화되고 있다. 이렇게 홍콩에서 줄인 매장 수로 이젠 홍콩이 아닌 마카오, 중국 선전으로 기업들이 눈을 돌리고 있다. 이유는 홍콩 시위 + COVID + 매장 렌트비 홍콩 시위로 인해 사실 리테일 업계는 작년 말부터 타격을 서서히 받았다. 작년 말 올해 초 시위가 격화될수록 거의 일주일에 3번 정도는 매장 Safety 이유로 일찍 닫거나 아예 하루를 통째로 닫아야 했다. 시위로 인해 줄어든 domestic/internationa 고객들의 traffic이 감소하면서 당연히 홍콩 명품 사이트 매출에 타격을 입었고 시위가 조금씩 줄어들 때쯤 COVID가 찾아왔다.​ 사실 COVID로 인해 홍콩은 상당히 힘든 시기를 보내오고 있다. 국경 폐쇄와 항공업계의 영향으로 중국발을 포함한 International 고객들이 '0명'인 홍콩에서 기업들은 홍콩 리테일 산업 전반이 홍콩 방문객에 심하게 의존하고 있었음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지금까지 한번도 보지 못한 산업의 아주 본질적인 모습을 보게 된 것이다. 그래서 리테일 기업들은 이제 새로운 시각으로 홍콩을 바라보고 앞으로의 전략을 이미 수립해 나가고 있다.​ 홍콩 리테일에 있어서 렌트비는 Decision Making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앞에서 설명한 코즈웨이 베이 빅토리아 시크릿 플래그십 스토어의 경우 매월 렌트비만 HKD 7M, 한화로 약 1억 정도이다. Management 입장에서 시위/COVID로 인해 급감한 해외여행객들이 다시 홍콩 명품 사이트 홍콩을 예전처럼 방문해 주기만을 무한정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었을 것이다. 물론 빅토리아 시크릿의 경우 작년 란제리 쇼가 취소된 타격도 어느 정도는 있을 것이다.​지금 홍콩에 있는 리테일 기업들의 가장 큰 고민은 바로, 과연 앞으로 홍콩이 예전 홍콩의 모습을 다시 찾을 수 있을까이다.명품업계 COVID 성적표 - 거시적 관점Luxury Business, 작년 상반기 vs 올해 상반기 지역별 매출액 비교 (Million €) 아시아 선방, 유럽/미국 타격아시아는 의외로 선방했다. 물론 중국의 무서운 회복세가 힘이 됐다. Fisical Year 기준 유럽/미국이 30-40% 세일즈에 타격을 입은 반면 아시아는 작년 대비 4% 정도 감소한 수치다. 이 정도면 거의 COVID 타격을 입지 않았다고 봐야 할 정도? 이유는 중국의 post-COVID 회복세가 시작된 3월부터, 무서운 홍콩 명품 사이트 회복, 두 자릿수 상승세가 꾸준히 이어졌기 때문이다. 요즘 두 자릿수 상승세를 보여주는 비즈니스가 과연 얼마나 있을까? 그동안 집에만 갇혀있던 소비자들의 약간 스트레스 해소성 소비가 이어진 걸까? 물론 한국도 중국 다음으로 아시아의 회복을 이끈 두 번째 마켓이다. 명품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한국, 이제 한국은 명품업계에서 시장규모로만 보자면 아시아에서 홍콩을 추월했다. 그래도 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니 뿌듯(?) 하다.​명품업계의 지각변동 - 명품구매, 이제 아니 이미 e-commerceDistribution Channel에 급격한 변화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을 잃은 특히 유럽과 미국에서 Retail/Wholesale 채널을 통한 판매는 큰 타격을 입은 반면 online retail은 선방했다. 중국 시장을 위해 이미 거의 모든 명품 브랜드들이 e-commerce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어 징동/Tmall 과 같은 홍콩 명품 사이트 중국 대표 e-commerce platform에 luxury 관을 따로 오픈한다거나 브랜드 각자의 platform을 새롭게 론칭한 사례로 보면, 이제 명품업계들에게 e-commerce는 이미 필수적인 옴니 채널 중 하나가 되어버렸다.올해 중국에 자체 e-commerce 플랫폼을 새롭게 론칭한 에르메스 브랜드별로 진출 전략도 다양하다. 브랜드 자체적으로 중국 e-commerce 사이트를 개설하기도 하는가 하면, 이미 중국 리테일 업계에 확고한 뿌리를 내린 플랫폼에 JV(Joint Venture) 형식으로 투자나 기업 인수를 통해 각자 자신들의 방식으로 Z-generation 들을 공략하기 위해 혈안이다. 과연 명품 업계가 언제부터 e-commerce에 이렇게 적극적이었을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우리는 절대 인터넷으로 명품을 팔진 않을 거야"하고 했던 대형 브랜드 오너들이 많았던 것 같은데..마무리 - Post COVID 전략 그리고 전망명품업계가 거의 비슷비슷한 상황일 것이다. 홍콩 명품 사이트 올해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발생한 loss를 상당히 보상해 준 시장은 아시아, 특히 중국이다. Management 입장에서 봤을 때 유럽, 미국(혹은 홍콩)의 lock-down 이 해제될 때까지, 그래서 특히 중국 관광객들이 다시 방문해 주기만을 기다리는 시기는 지났다. 코로나 때문에..라고 연일 외치면서 더 이상 수동적으로 이 상황을 바라보고만 있을 수는 없을 것이다.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감행하지 않는 이상. 지금 당장 COVID 상황에서 꺼낼 수 있는 카드는 제한적이지만 몇 가지는 있다,Short-term plan으로 회복이 더딘 시장의 매장을 줄이고 빠르게 회복하는 시장으로 새로운 형태의 스토어 오픈,Inventory 비중을 성장하는 시장으로 빠르게 옮기고,e-commerce 플랫폼의 localization 을 위한 전략에 집중해 Z-gen 세대를 공략하는 것Post-COVID, 당분간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시장이 타지역의 매출 손실을 만회할 홍콩 명품 사이트 것이다. 중국은 이미 국내 여행이 100% 자유로워졌고, 특히 Sanya 지역의 Duty Free를 활성화시키는 정부의 정책에 힘입어 내수 소비가 지속될 것이다. 한국도 무서운 성장세로 홍콩을 제치고 이제 명품시장의 두 번째로 큰 시장이 되어버렸다.​한 번 더 리테일의 큰 변화가 올 시기는 바로 백신이 상용화되는 내년 초중반 정도가 되지 않을까? 하지만 이 또한 항공업계가 재개를 한다고 해도 당분간 아시아 여행객의 수요는 장거리보다는 가까운 지역(한국/일본/대만/홍콩)으로 먼저 회복할 것이고 이는 중국의 무서운 성장세가 다른 국가로 조금 분배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하지만 여기서 또 하나 중요한 점은, COVID 기간 중 급성장한 e-commerce에 이미 상당히 적응해버린 소비자들의 명품 소비습관이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이제 'New normal'이 'Normal'이 되는 시대​

홍콩 명품 사이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